이 기사는 2022년 07월 18일 07:3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영원무역홀딩스가 그룹 내 1조 넘는 실탄을 기반으로 스타트업 발굴에 나선다. 그동안 흑자경영을 통해 현금을 두둑하게 비축한 영원무역은 자전거 브랜드 '스캇'을 인수해 재미를 본 경험을 살려 투자 성공신화를 잇는다는 목표다.
영원무역홀딩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이들은 올해 3월 싱가포르에 지분 100%를 보유한 완전 자회사 YOH CVC를 설립했다. 해당 법인은 유망한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을 발굴하고 지분투자를 단행하는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orporate Venture Capital, CVC)이다.
투자를 위한 재정적 여유도 있다.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영원무역홀딩스는 현금 및 현금성자산 8056억원, 단기금융상품은 4465억원 규모로 총 1조2000억원 이상의 실탄을 보유한다. 영원무역홀딩스는 현금성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은 2019년 7397억원에서 2020년 1조1391억원에서 지난해 말 1조3009억원으로 크게 늘어났다.
풍부한 곳간의 기반은 양호한 실적이다. 영원무역홀딩스의 매출은 2019년 2조7380억원에서 지난해 3조2405억원으로 2년 만에 5000억원가량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2990억에서 5705억원으로 91% 이상 증가하는 등 코로나19 팬데믹에도 승승장구하는 모습을 보였다.
영원무역홀딩스는 의류 벤더(Vender) 역할인 제조 OEM에서부터 브랜드 유통을 아우르는 사업구조를 갖는다. 영원무역은 아웃도어와 스포츠 잡화 등을 제조해 수출하는 OEM 사업, 영원아웃도어는 한국에서 아웃도어 브랜드 노스페이스 리테일을 전개한다. 영원무역홀딩스는 이들 회사를 자회사로 두고 지주 역할을 한다.
영원무역그룹의 역사는 인수합병(M&A)을 비롯한 투자로 완성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원무역은 지난 2009년부터 2014년까지 글로벌 아웃도어 의류 시장이 급성장하며 황금기를 맞이할 때 미래를 준비하는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바 있다. 2013년 스위스 자전거 제조·판매사 스캇에 460억원을 투입해 지분 20%를 확보한 게 대표적인 사례다. 이후 영원무역은 2015년 1200억원 추가 투자를 단행해 지분을 50.1%까지 과반수로 늘리며 스캇을 종속 기업으로 품었다. 아웃도어와의 시너지를 기대한 행보였다.
스캇은 인수 직후인 2016년과 2017년 적자에 허덕였다. 그러다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위상이 달라졌다. 2016년 연매출 4100억원 규모를 올리던 스캇은 거리두기 여파로 야외 액티비티 선호도가 증가하면서 2020년 매출 1조원을 넘겼다. 영원무역의 혜안이 통한 셈이다.
CVC는 성래은 영원무역홀딩스 사장이 직접 이끈다. 성 사장은 성기학 영원무역 회장의 둘째딸로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를 졸업한 후 2002년 영원무역에 입사, 이후 영원무역 전무 등을 거치며 2016년 영원무역홀딩스 대표이사에 올랐다. 사실상 성 사장은 차기 영원무역을 이끌어갈 수장으로 통하는 만큼, 신성장동력 확보에 직접 손을 걷어붙인 것으로 분석된다.
펀드도 이미 결성 완료됐다. YOH CVC의 1호 펀드는 총 850억원 규모로 해외 기업이나 기관 등이 참여하지 않고 영원무역홀딩스 계열사끼리 자체적으로 조달했다. 특히 YOH CVC 1호 펀드는 설립부터 해외 업체를 겨냥한 펀드투자로 구성돼 국내 스타트업은 투자 대상에 포함하지 않는다. 영원무역홀딩스는 향후 YOH CVC가 해외 스타트업 직접 투자와 펀드 LP 출자 등을 병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영원무역홀딩스 관계자는 "모기업이 섬유인 만큼 고품질 특수 소재나 유망한 패션 브랜드 스타트업 등을 찾으려 한다”라면서 “투자 기준과 절차는 LP Agreement와 CVC 정관에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중남미
필자는 무역포럼에 참석해서 멕시코의 루즈 마리아 데 라 모라(Luz María de la Mora) 경제 부총리를 몇 차례 만난 적이 있다. 데 라 모라 부총리는 연설할 때마다 멕시코의 3대 무역 정책인 ‘다변화’, ‘혁신’, ‘포용’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데 라 모라 부총리가 제시한 정책 비전을 살펴보면, 우선 ‘다변화’는 새로운 시장과 함께 무역상대국들과의 관세 및 위생 문제에 더 집중함으로써 실현된다. ‘혁신’은 기술개발과 전세계적 ‘인더스트리 4.0(제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독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제조업 성장 전략)’을 가리킨다. ‘포용’은 양자 무역에 참여한 많은 중소기업들이 전세계 구매망에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의미이다. 필자는 부총리의 생각이 옳다고 생각하며, 여기서 핵심은 이러한 조치들이 홍보와 무역 관련 정보 확보 노력과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목표시장에 맞는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가장 경쟁력 있는 분야의 공급, 수요, 틈새 사업 기회에 초점을 맞추는 것 외에도 기술, 재정, 물류 면에서 능력이 있는 멕시코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촉진할 수 있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
일부 멕시코 기업들이 이미 해외 무역에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긴 하지만 규모가 큰 곳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최소 15위 권 안에 드는 기업도 8위에 오른 메트 멕스 페놀레스(Met Mex Peñoles S.A de C.V) 한 곳뿐이다. 다른 기업들은 멕시코에서 영업하고 있는 외국인 소유의 기업들이다. 수출 지역이 편중되어 있는 것도 문제이다. 2016년 기준, 멕시코의 6개 주가 수출의 51.3%를 담당했다. 치와와가 11.6% 코아퀼라가 10.1%, 바하칼리포르니아가 9.6%, 누에보레온이 8.6%, 타마울리파스가 6.7%, 소노라가 4.7% 등이다. 외국인직접투자(FDI)도 마찬가지다. 1999년부터 2017년까지 위 6개 주로 FDI의 30%가 몰렸다(León, Oscar, 2019).
특히 북미 시장에서 멕시코 수출품의 81%가 미국으로 간다는 무역 뉴스 및 포럼 점을 고려했을 때 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현재 멕시코와 미국은 국경 갈등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멕시코의 이민정책(인권과 질서 정연한 이민과 관련)의 전환과 트럼프 대통령의 국경 폐쇄 위협에 따라 불거진 양국 간 정치 위기는 일일 10억 달러(약 1조 2,000억 원)가 넘는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Consejo Coordinador Empresarial, 2019).
복잡한 상황에 직면해 있지만, 멕시코의 새로운 무역정책의 근간인 포용, 혁신, 다변화를 위한 노력이 캐나다, 미국, 멕시코 의회의 미국ㆍ멕시코ㆍ캐나다협정(United States Mexico Canada Agreement, 이하 USMCA) 비준이란 폭풍우를 이겨내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멕시코와 아시아 내 새로운 전략
무역정책과 관련해 무슨 말을 하건 멕시코는 여전히 무역을 통한 국제 경제 전략을 유지하고 있다. 그게 아니라면 무역협정을 통한 무역 다변화에 승부를 걸지 않을 것이다. 한 가지 예가 USMCA 협상 도중 목격된 새 정부와 전 정부 간의 조율이다. 헤수스 세아데(Jesús Seade) 멕시코 외무부 북미 지역 담당 차관이 협상 대표를 맡았는데 그가 가진 한 가지 강점을 들자면 국제 무역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다. 멕시코 정부의 변화로 정치적으로 복잡한 시기였지만, 새로운 USMCA가 타결될 수 있도록 그를 협상에 참여시키는 게 중요했다. 이제 캐나다, 미국, 멕시코 3개국 의회의 비준으로 무역 뉴스 및 포럼 이런 노력이 마무리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전 정권에서 계승한 다변화 전략과 더불어 이런 사례는 지금까지 해외시장 다변화를 통해 자유무역에 베팅하는 멕시코 무역정책 지도원칙의 핵심을 이룬다.
호주, 브루나이, 캐나다, 칠레, 일본, 무역 뉴스 및 포럼 말레이시아, 멕시코, 뉴질랜드, 페루, 싱가포르, 베트남 등이 참여하는 포괄적ㆍ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 이하 CPTPP)이 다변화 방안으로 고려됐다. 2016년까지 CPTPP 회원국들이 멕시코 수출과 수입에tj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5.4%와 10.6%(Gobierno Federal, México, 2019)였는데, 수입 비중이 82.8%에 이르는 멕시코의 북미 의존도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작은 편이다(Santander, 2019).
따라서 이런 무역협정이 다변화 목표를 달성하려면 상당한 홍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 정부에겐 홍보 수단이 부족하다. 외교부가 다변화 홍보에 나서도 괜찮지만, 필요한 기술적-경제적 역량을 갖춰야 한다. 더군다나 이러한 다변화의 일환으로 CPTPP 회원국들 내에서 멕시코의 수출입 가능 제품이 무엇인지 분명히 해야 한다. 이때 많은 출장과 경제 및 금융 차원의 홍보뿐만 아니라 경제 정보도 필요하다. 이것이 힘든 도전이지만, 무역촉진 협정을 같이 체결한 경제부와 함께 우리 외교부가 준비를 하고, 정부의 긴축정책이 준비 과정을 방해하지 않기를 바란다.
무역정책과 제4차 변혁
멕시코 외교 정책의 원칙과 기반과 축은 멕시코 헌법 제89조 10항에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외교 정책을 주도하고, 국제 조약의 이행, 종료, 비난, 중단, 수정, 교정, 이의 제기, 해석 선언, 상원 비준을 시행한다. 이러한 정책 수행 시 행정기관장은 시민의 자결권, 불간섭,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위협 내지 국제관계의 무력 사용 금지, 국가 간 법적 평등, 발전을 위한 국제 협력, 인권 존중과 보호와 증진, 그리고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한 투쟁이란 헌법 규범을 준수한다.”
전술한 모든 규범을 존중하는 글로벌 조직들 사이의 국제동맹을 제외하곤 이 원칙들이 정부의 제4차 변혁(Fourth Transformation)과 對아시아 외교정책에 어떻게 반영될지 예상하기는 다소 힘들다. 특히 아시아 지역이 정치적 및 경제적 차원에서 멕시코 외교정책 다변화를 위한 옵션(실현 여부와 상관없이)으로 간주된 적이 많은데도 그렇다. 아시아 국가들을 상대로 보다 면밀한 외교정책을 시행하기 위한 권고사항을 상세히 알아보기 전에 멕시코와 다음 세 무역 뉴스 및 포럼 나라들 간 관계의 맥락과 현재 상황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중국
중국은 전 세계적으로 경제적-군사적 팽창 정책을 추구하는 한편, 2013년 일대일로를 통해 소프트파워(간접적이고 무형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힘)를 행사하기 시작했다. 이미 몇몇 아시아와 유럽 국가들에서 시행되고 있는 일대일로 사업은 경제개혁과 외국인 개방 40주년을 맞아 남미 등 다른 지역에 소개됐다. 결과는 자명하다. 예를 들어, 2018년 중국의 수출액은 768억 8,200만 달러에 달했고, 멕시코의 수출액은 67억 9,200만 달러에 불과했다. 중국은 709억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내고 있다(Secretaría de Economía, 2019). 문제는 현 멕시코 정부가 중국과의 대외무역 확대와 그것이 세계시장,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 중국과 경쟁하는 국가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느냐는 점이다.
일본
멕시코는 일본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지만, 무역에서 일본이 중국에 추월당했다는 건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2018년 멕시코와 일본은 활발한 교역을 이어갔다. 멕시코의 대일 무역적자는 132억 7,800만 달러(수입액과 수출액은 각각 168억 1,700만 달러와 34억 5,000만 달러)(Secretaría de Economía, 2019)였다. 그러나 멕시코 국민들은 일본에 대한 관심을 끊었다. 일본이 예전의 관심을 회복하기 위해 공격적인 문화정책을 펼칠 경우 멕시코와 일본의 공동 투자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새로운 사업 모델 개발 등 양국 관계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는 일본에게 멕시코는 북미와 남미에서 기반을 잡기 위한 핵심 요소다. 일본의 도전이 만만치 않겠지만 두 나라의 우정은 상대국에 대한 여론의 긍정적인 반응을 통해서 확인된다.
한국
멕시코가 더욱 전략적인 관계로 나아갈 수 있는 나라가 있다면 다름 아닌 한국이다. 양국 간에는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되지 않았다. 안타깝게도 한국은 CPTPP에서 배제됐다. 중국과의 경우처럼 한국과 FTA가 아닌 경제보완협정(Strategic Economic Complementation Agreement) 체결을 모색하는 것이 무역 손실이나 양국 관계의 냉각을 막는 최선의 방법이 될 수 있다. 한국의 CPTPP 가입 여부와 상관없이 양국 간 무역액이 증가하고 있다. 수입액은 153억 5,800만 달러, 수출액은 38억 1,200만 달러로 멕시코는 115억 4,600달러의 대한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다(Secretaría de Economía, 2019).
결론
멕시코가 50개국과 13개 FTA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Secretaría de Economía, 2019). 그러나 미국의 무역정책 변화와 현재 세계 정치상황은 이제 이러한 전략만으로 충분하지 않으며, 멕시코의 수출 시장 유지를 보장하지도 않는다는 사실을 의심할 여지가 없다. 모든 것을 새롭게 생각해봐야 한다.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의 오랜 기간 동안 쓰라린 경험을 겪으면서 멕시코는 어쩔 수 없이 무역 다변화를 추구하게 됐고, 그래서 찾아낸 게 바로 CPTPP이다. 이런 무역 메커니즘을 통해 멕시코 대외무역의 진정한 다양화라는 목표를 이루려면 그것을 홍보하기 위해 애써야 한다. 하지만 현 정부의 홍보 수단 부족을 고려해봤을 때 이는 만만치 않은 일처럼 보인다. 외교부에게 홍보를 맡기는 게 나쁜 생각은 아니지만, 홍보 계획을 실행하려면 기술적-경제적 능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다변화를 위해서 멕시코는 CPTPP의 회원국별로 수출입 제품의 수급 상태를 분명히 파악해둬야 한다. 이때 경제 정보 확보, 해외 출장, 경제 무역 뉴스 및 포럼 및 금융 홍보 활동이 요구된다. 쉽지 않은 도전이겠지만, 연초 수출 촉진과 FDI 유치를 위한 협력 협약을 체결한 외교부와 경제부가 준비를 하고 있다(Secretaría de de Relaciones Exteriores, 2019). 정부의 긴축조치가 무역 뉴스 및 포럼 방해가 되지 않기만을 바랄 뿐이다.
끝으로, 아시아의 지정학적 위치와 전략적-상업적 동맹을 잊어서는 안 된다. 아시아에 미래가 달려있다는 사실을 오랫동안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왜 멕시코는 아시아를 상대로 공격적이고 역동적인 무역정책을 펼치지 않았던 걸까? 외교부가 열심히 일해야 하지만, 2019 회계연도에는 충분한 예산을 배정받지 못했다. 외교부에 할당된 연방국가예산(PEF)은 2018년 90억 300만 페소보다 4억 7,100만 페소 감액된 85억 3,200만 페소 미만에 그쳤다(El Economista, 16 de diciembre de 2018). 현 상황에서 멕시코는 아시아에서 끊임없는 혁신과 재투자를 해야 하나 즉흥적으로 하는 건 금물이다.
ASEAN-COREA CENTERE
사무총장 인사말 2022년은 협력 모멘텀을 유지하고 추동력을 제고하여 한국과 아세안이 코로나19를 완전하게 극복하고, '포용적이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는 한 해입니다.
- 22.07.15[Job Posting] Assistant Officer (CTU)
- 22.07.08「제10차 아세안 연계성 포럼」 행사 대행 용역 입찰공고
- 22.07.08“한-아세안 스타트업 위크” 용역 입찰공고
- 22.07.052022 한-아세안 학술 에세이 공모전: 제안서 심사결과
- 22.06.30⸢2022 한-아세안 팸투어⸥ 영상 기획 및 제작 대행용역 입찰공고
- 22.06.222022 한-아세안 F&B 무역 활성화 세미나
- 22.06.13[Job Posting] Project Assistant
- 22.04.28코로나 이후의 스마트 관광과 지속가능한 관광 논의의 장 열려
- 22.04.28한-아세안 비즈니스 전망 및 RCEP 논의를 위한 ‘2022 한-아세안 무역투자 라운드테이블’ 개최
- 22.04.28‘한-아세안 스타트업 생태계 홍보영상’ 공개
- 22.02.11한-아세안센터, 제14차 연례이사회 14일 온라인 개최
- 22.02.11한국과 아세안 청년의 서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다
- 22.02.11코로나 이후의 아세안 연계성과 한-아세안 협력
- 22.02.11청년들이 구상하는 한-아세안 협력의 미래와 청년의 역할
-
무역 뉴스 및 포럼
- 22.07.07지스타 2022 참가사 명단 공개…위메이드, 메인 스폰서로 참가
- 22.06.29‘한-아세안 식음료 무역 활성화 세미나’ 수출 노하우 생중계
- 22.06.27[사진으로 보는 전시회] ‘수입상품전시회’ 23일 사흘일정 출발
- 22.06.2760여 개국에서 대표상품 전시. 내일 코엑스에서 수입박람회 개막
- 22.06.27수입협회, ‘2022 수입상품전시회’ 개최
- 22.06.22‘수입상품전시회’ 3년만에 정상 개최…60여개국 참가
- 22.06.222022 수입상품전시회, 23일 코엑스서 열린다
한-아세안 청년 상호 인식조사 결과발표 및 좌담회 한국과 아세안의 지속가능한 관계를 위한 상호인식 제고
한아세안센터와 함께하는 아세안 온라인 사진전 쌀 한 톨의 우주 - 쌀의 여정 : 아세안을 걷다
제9차 아세안 연계성 포럼 제9차 아세안 연계성 포럼(ASEAN Connectivity Forum)을 온라인 형태로 개최했다
무역·투자교역확대 및 고도화
투자 및 진출 활성화
문화·관광문화관광교류 활성화
문화관광 협력 확대
정보·자료대외홍보 및 인식제고
청년 및 전문가 교류 확대
아세안홀스쿨투어 및 방문 프로그램
아세안 홀 대관
무역·투자
소비재 산업 증진
인프라 분야 협력 증진
4차 산업분야 협력 촉진
문화·관광
문화·관광 교류
아세안 문화·관광 진흥
아세안 관광 역량 강화 지원
정보·자료
대외홍보 및 아웃리치
청년 인식제고 및 교류
아세안홀
아세안 스쿨 투어 프로그램
방문 견학 프로그램
아세안홀 대관
ASEAN TRAVEL
아세안 10개국의 여행지, 미식문화, 라이프스타일을 둘러보세요
ASEAN Travel 아세안 10개국이 선정한 힐링 여행지 온라인 갤러리 (11월 4~25일)
ASEAN Travel 아세안 10개국이 선정한 힐링 여행지 온라인 갤러리 (11월 4~25일)
ASEAN Travel 아세안 10개국이 선정한 힐링 여행지 온라인 갤러리 (11월 4~25일)
ASEAN Travel 아세안 10개국이 선정한 힐링 여행지 온라인 갤러리 (11월 4~25일)
ASEAN Travel 아세안 10개국이 선정한 힐링 여행지 온라인 갤러리 (11월 4~25일)
ASEAN Travel 아세안 10개국이 선정한 힐링 여행지 온라인 갤러리 (11월 4~25일)
ASEAN Travel 아세안 10개국이 선정한 힐링 여행지 온라인 갤러리 (11월 4~25일)
ASEAN Travel 아세안 10개국이 선정한 힐링 여행지 온라인 갤러리 (11월 4~25일)
ASEAN Travel 아세안 10개국이 선정한 힐링 여행지 온라인 갤러리 (11월 4~25일)
ASEAN Travel 아세안 10개국이 선정한 힐링 여행지 온라인 갤러리 (11월 4~25일)
정기간행물
2022 한-아세안센터 브로셔
Annual Report 2021
2021 한-아세안 통계집
2021 한-아세안 청년 상호 인식 조사 보고서 2021 한-아세안 청년 상호 인식 조사 보고서
2021 한-아세안 청년 상호 인식 조사 인포그래픽 2021 한-아세안 청년 상호 인식 조사 인포그래픽
뉴스레터 7월호 한-아세안센터 월간 소식지
Staying Connected with AKC [CAPK 에세이 #5] 한-아세안 국가단위 패널자료를 이용한 교육의 경제성장 영향분석 (1990-2019)
한-아세안센터 블로그 한-아세안센터 블로그 기자단이 전하는 생생한 아세안 이야기
[한-아세안 관련 통계] 한-아세안 무역, 한국의 대아세안 직접투자, 한-아세안 관광객등 통계자료
[한-아세안 영상자료] 영상을 통해 만나는 한-아세안 협력
[한-아세안 관련 문서] 한-아세안 관련 정부 및 학술 자료
ASEAN-KOREA CENTRE
-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태평로1가,프레스센터8층)
- TEL(02)2287-1115 FAX(02)-2287-1160
- 고유 번호: 104-82-61417
- ⓒCOPYRIGHTS 2015 ASEAN-KOREA CENTRE ALL RIGHTS RESERVED.
자세히보기
자세히보기
중소벤처24
중소기업의 해외시장진출을
지원하는 성공파트너
Small and medium enterprise export support center
배너 및 공지사항
- [중기부] 2023~2025년 유망수출컨소시엄 주관단체 선정 모집 공고 2022-06-27
- [대중소농어업협력재단] 2022년 기술보호 선도기업 육성사업 참여기업 모집(~6/30) 2022-06-23
- (필독) 사업신청 시 오류, 계정찾기 관련 해결방법 안내 2022-06-20
- [중기부] 2022년 수출유망중소기업 지정 계획 공고 2022-06-07
- [중기부] 2022년 수출두드림기업 지정 계획 공고 2022-06-07
중소기업수출지원센터의
주요지원사업을 안내합니다.
수출상담실
- 헝가리 수출에 따른 CE 인증 문의의 건
- 섬유제품의 grs 인증 관련 문의 드립니다.
- 글로벌 강소기업 및 수출유망 중소기업 관련 문의
- 강아지 기저귀 라벨링 방법 및 기본 표시사항 문의드립니다.
상담 및 지원
- 지역별 문의처 체계적인 중소기업 수출지원을 위해
[ 지역별 수출지원센터]를 운영중입니다. - 수출지원사업 문의처 수출지원센터는 각 주요 사업들마다 별도 담당자가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사업신청 시 오류, 계정찾기 관련 해결방법 안내
- 시스템 관련 문의는 수출지원센터 홈페이지 하단 안내된 로 관련 내용을 메일로 보내주시면 당일(~18:00)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계정 찾기, 계정 잠금 해제
- - 사업자등록증 사본, 명함(재직확인용)을 보내주시면 계정잠금을 해제하고, 아이디 확인과 임시비밀번호를 발급해 드립니다.
로그인 오류
- - '중소기업수출지원센터 로그인(https://www.smes.go.kr/exportcenter/account/login.do)'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벤처24(무역 뉴스 및 포럼 https://www.smes.go.kr/index)' 로그인과 '간편로그인'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 사업신청 시 '중소기업수출지원센터' 홈페이지 회원가입 필요 (중소벤처24 계정 이용 불가)
사업신청 시 오류
- - 먼저, 홈페이지는 '크롬(chrome)'과 엣지(Microsoft Edge)'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 윈도우10 이상 버전에서 인터넷 익스플로러(IE) 서비스가 중단(22.6월~)됨에 따라 지원하지 않습니다 .
- - 그럼에도 오류가 발생한다면, 정확한 진단을 위해 화면 확인이 필요합니다.
- - 주소창이 보이도록
1) 오류 발생 전 정상작동 전체 화면(입력한 내용 확인용),
2) 오류가 발생한 화면(오류 확인용)을 캡쳐해서 보내주세요.
그리고 가입 회원아이디와 사업자번호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감사합니다.
중소기업 수출지원센터
일반 문의 : 1357 | 시스템관련 메일문의 : [email protected]
중소벤처기업부 : 30121 세종특별자치시 가름로 180(어진동), 세종파이낸스센터3차 4층~6층 / 대표전화 : 국번없이 1357
무역 무역 뉴스 및 포럼 뉴스 및 포럼
철강·섬유·기계 산업이 상대국의 보호무역 조치에 수출이 막히고 저가수입품에 내수가 잠식돼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국내산업 보호를 위한 무역구제제도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6일 법무법인 세종과 공동으로 ‘제5회 대한상의 통상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는 주최기관인 대한상공회의소, 법무법인 세종 외에도 정부, 학계, 업계 등에서 전문가 13명이 참석했다.
‘포스트코로나 통상환경 전망 및 주요국 무역구제 조치 동향’ 발제자로 나선 조명성 회계사(법무법인 세종)는 “미국은 코로나 상황임에도 반덤핑, 상계관세 조사를 활발히 하고, 보호무역 관련 슈퍼 301조 및 무역확장법 232조도 유지 중”이라며, “미국 대선 결과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중국을 압박하고, 보호무역을 지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미·중 의존도를 낮추고 수출지역 다변화를 시도해 코로나 이후 급변하는 통상환경에 유연히 대처할 수 있도록 산업구조 변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비대면 상황에서 효과적인 무역구제 조사방안을 강구하고, 주요 국가의 반덤핑, 상계관세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국내기업 무역구제 및 불공정 무역행위 관련 대응방안으로는 ▲국내제소를 활용한 적극적인 자국산업 보호 ▲기업들의 통상전문성 강화 ▲상계관세 연구 및 조사기반 확립 ▲특별시장 상황(PMS), 비시장경제(NME) 등 반덤핑 관세 조사 제도 도입 방안 모색 등을 제시했다.
WTO제소, 국내수입 규제 대응, 아웃리치 활동 등 정부 차원의 지원 필요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선 한국철강협회 이민철 상근부회장은 “우리나라 철강 시장은 수입 철강재의 내수 점유율이 세계 최대 수준이나 여타 주요 수입국인 미국, EU, 인도 등과 달리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이 거의 없어 사실상 수입재에 무방비 상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 철강업계는 미국, 아세안, 캐나다 등 19개국으로 부터 90건의 피소(규제 77건, 조사 13건)을 받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대(對) 세계 철강 제소는 7건에 불과하다”며 “국내산업에 피해를 줄 수 있는 불공정 수입제품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무역구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 번째 발제자로 나선 정동창 한국섬유산업연합회 상근부회장은 “우리나라 섬유류는 현재 6개국으로부터 총 14건의 수입규제(반덤핑 10건, 세이프가드 4건)를 받고 있다”며 “특히, 2019년 이후 인니, 터키 등에서 자국 섬유산업 보호와 저가 중국산 수입규제를 위해 잦은 무역 뉴스 및 포럼 세이프가드를 발동하고 있고, 미국과 터키도 폴리에스터단섬유(PSF)와 폴리에스터장섬유직물에 대해 20년간 반덤핑규제로 우리 기업의 수출확대에 애로가 많다”고 밝혔다.
나아가 정 부회장은 “정부는 해외 저가제품 수입 급증에 따른 국내 수입규제 대응과 주요 규제국가를 대상으로 아웃리치 등 사전공조 활동을 강화해 줄 것”을 건의했다.
안덕근 교수 “무역구제제도 개선, 조직 및 역량 강화, 절차 및 규정 정비 등 필요”
네 번째 발제자로 나선 안덕근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이미 무역구제제도 선진국들은 지난 4~5년 전부터 지속적으로 관련 제도와 조직을 강화해 왔다”며 “코로나 사태까지 덮친 현 시점에서 국내산업의 실효성 있는 보호를 위해 무역 뉴스 및 포럼 무역구제제도의 개선과 무역위원회 조직 역량 강화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안 교수는“국내 무역구제제도가 WTO협정에 비해 과도하게 경직적으로 운용되고 있다”며 “최소부과원칙의 유연화, 우회덤핑규정의 조속한 도입, 원심 및 재심절차 운용의 일원화를 비롯한 다양한 절차 규정 정비 등 현행 관세법상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이번 회의를 주재한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철강, 섬유, 기계 등 국내산업이 해외 저가 수입제품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고 있어 무역구제조치가 활성화 돼야 한다”며, “정부는 주요 국가의 무역구제 조치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국내산업 보호를 위해 반덤핑관세, 상계관세 등 적극적인 무역구제조치를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