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환경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1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1. 1. 고장석, 조중환, 정석원, "인터넷쇼핑몰 PB 상품이 온라인 소비자의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제12권, 제3호, pp.49-68, 2011.
  2. 2. 최철재, "인터넷쇼핑몰 사이트 환경과 재구매의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357-369, 2012. 원문보기 상세보기
  3. 3. 이진원, "전자상거래 1000조 시대 B2C, B2B, B2G 지속적 성장세", 한국경제매거진, 제849호, 2012.
  4. 4. 강유리, 박철, "온라인 Social Shopping 사이트 이 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20, 2011. 원문보기 상세보기
  5. 5. 박윤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요인간 구조적 관계: 기술수용모델(TAM)과 플로우(Flow)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1권, 제1호, pp.247-272, 2012.
  6. 6. 전상택, 이형주, "인터넷쇼핑몰에서 서비스품질 및 쇼핑흥미도와 충동구매 간에 소비감정의 매개 역할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2권, 제2호, pp.205-230, 2012. 상세보기
  7. 7. 서건수, "인터넷 쇼핑 사이트의 사용성 및 신뢰성과 고객 충성도간의 관계에서 인터넷 쇼핑 관여도의 조절효과",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7권, 제3호, pp.1-29, 2008. 원문보기 상세보기
  8. 8. 황윤용, 최수아, "소비자 구매충성도에 대한 불평 행도의 구조와 결정요인", 한국비즈니스리뷰, 제1권, 제2호, pp.135-156, 2008.
  9. 9.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상세보기 거래 환경
  10. 10. F. D. Davis,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 characteristics, user perceptions and behavioral impacts," International Journal of Man-Machine Studies, Vol.38, No.3, pp.475-487, 1993. 상세보기
  11. 11. B. Schwartz, A. Ward, J. Monterosso, S. Lyubomirsky, K. White, and D. R. Lehman, "Maximizing versus satisficing: happiness is a matter of choi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3, No.5, pp.1178-1197, 2002. 상세보기
  12. 12. 조현, "SNS에 대한 인지요인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1권, 제3호, pp.227-240, 2012. 원문보기 상세보기
  13. 13. 조현, 김성희, 이석기, "EDI 정보 시스템의 성공모형 도출: 의료 산업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2권, 제2호, pp.323-333, 2011. 원문보기 상세보기
  14. 14. 조현, 남달우, 김성희,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 연구, 제12권, 제3호, pp.251-268, 2011.
  15. 15. 조현, 이석기, "기술 수용 및 시스템 성공 모형 관점에서의 스마트폰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10권, 제5호, pp.169-175, 2012년. 상세보기
  16. 16. D. W. Rook and R. J. Fisher, "Normative Influences on Impulsive Buying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2, No.3, pp.305-313, 1995. 상세보기
  17. 17. C. Huffman and B. E. Kahn, "Variety for sale: mass customization or mass confusion?," Journal of Retailing, Vol.74, No.4, pp.491-513, 1998. 상세보기
  18. 18. W. W. Chin,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dern Methods 거래 환경 for Business Research, London, Lawrence Erlbaum, pp.295-336, 1998.
  19. 19. C. M. Ringle, S. Wende, and A. Will, "SmartPLS 2.0 (M3)," Hamburg, Germany, University of Hamburg, 2005.
  20. 20. W. W. Chin, A. Gopal, and W. D. Salisbury, "Advancing the theory of adaptive structuration: The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faithfulness of appropriati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8, No.4, pp.342-367, 1997. 상세보기
  21. 21. J. Hair, R. Anderson, and B. R. Tatham,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06.
  22. 22.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상세보기
  23. 23. D. Gefen and D. Straub, "A practical guide to factorial validity using PLS-graph: Tutorial and annotated exampl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16, No.16, pp.91-109, 2005.
  24. 24. 김국선, 이종호, "소셜 커머스의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품질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311-321, 2012. 원문보기 상세보기
  25. 25. 최현식, 박진우, "모바일관광정보서비스의 특성이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pp.411-422, 2009.

ESG경영

고객의 신뢰를 바탕으로 성장해온 KCC글라스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하여 기업 주변을 둘러싼 네트워크의 강화가 곧 기업 경쟁력 강화임을 잘 알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더 큰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기업 네트워크 강화는 KCC글라스와 협력사가 동반성장하며 경쟁력을 갖추어야만 글로벌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으며 나아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또한 협력사가 최대한의 능력을 발휘하고 정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는 공정한 거래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KCC글라스 협력사 모두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 첫 단추입니다.

이에 KCC글라스는 협력사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세미나와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고자 하며, 이러한 노력들을 더욱 발전시켜 KCC글라스와 협력사간의 네트워크를 더욱 공고히 할 것입니다. 이러한 맥락으로 KCC글라스는 2020년 1월부터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을 도입하였습니다.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의 운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법을 준수함으로써, 업계의 공정한 거래문화 및 거래질서를 정착시키고, 더 나아가 공정사회 구축을 위해 노력해 나가겠습니다.

공정거래자율준수프로그램(Compliance Program) 이란?

자율준수 프로그램은 기업들이 공정거래 관련 법규를 스스로 준수하기 위하여 운영하는 교육·감독 등의 내부준법시스템으로 미국과 EU에서는 이미 CP를 도입·운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01년에 도입하여 현재 약 500여개 기업이 운영중입니다. KCC글라스는 준법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하고 이를 실천하고자 2020년 1월에 CP를 도입하여 현재 운영중에 있습니다.

earticle

모바일 거래 환경에서 지각된 관계혜택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한·중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거래 환경 Effect of Relationship Benefit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in Mobile Commerce between Korea and China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Internet, people's shopping patterns have changed dramatically, and the spread of smart-phones has led to a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sumers using mobile transactions.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businesses in Korea and China, research on factors that affect consumers' intention to use continuously is becoming important. This study first subdivided perceived relationship benefits into convenience benefits, economic benefits, customerization benefits, and information service benefits in the mobile commerce environment through prior research, followed by hypotheses on the effect of perceived relationship benefits on satisfaction, trust and continuous use based on the TAM model, social exchange theory and trustapproval theory, and the model was verified and explained. In China, economic benefits and information service benefits had a positive impact on trust, which had a controlling effect on mobile transaction proficiency.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 results were opposite to those of China, and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n the perceived benefits and satisfaction in the continuous use.

모바일 인터넷이 거래 환경 발달함에 따라 사람들의 쇼핑 패턴이 급격히 바뀌었고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모 바일 거래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한?중 양국 모바일 비즈니스의 발전 양 상에 따라 소비자의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 구는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모바일 상거래 환경에서 지각된 관계 혜택을 편의적 혜택, 경제적 혜택, 고객화 혜택, 정보화 혜택으로 세분하였고 다음에는 TAM모델, 사회적 교환이론과 신뢰-승인 이론을 바탕으로 지각된 관계 혜택이 만족, 신뢰,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제시하고 모 델을 구축했으며 이를 검증하여 설명하였다. 중국의 경우, 경제적 혜택과 정보화 혜택이 신뢰에 긍정 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모바일 거래 능숙도에 조절 효과가 있었다. 반면, 한국의 경우에는 중국과 반대의 결과를 보였으며, 지각된 관계혜택과 지속적 이용의도에서의 만족에 대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2.1 기술 수용 모델
2.2 사회적 교환 이론
2.3 신뢰 승인 이론
2.4 모바일 거래
2.5 지각된 관계혜택
2.6 모바일 거래 만족
2.7 모바일 거래 신뢰
2.8 지속적 이용의도
2.9 모바일 거래 능숙도
3.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3.1 연구모형
3.2 연구가설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4. 실증분석
4.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4.2 신뢰성과 타당성분석
4.3 상관분석
4.4 가설검증
4.5 한·중 차이 분석 : 가설 검증 결과
4.6 한·중 차이 분석 : T-test 검증 결과
5. 연구 결과 및 시사점
5.1 연구 결과
5.2 시사점
5.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REFERENCES

[issue &] 안전성과 신뢰도 높은 거래 환경 조성으로 NFT시장 대중화 견인

업비트 NFT가 스포츠·순수미술 등 다양한 장르의 NFT와 편리한 기능을 선보이면서 NFT 대중화를 이끌고 있다. [사진 업비트 NFT]

업비트 NFT는 지난해 11월 23일 베타 버전으로 서비스를 시작해 PC와 모바일 앱에서 이용할 수 있다.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운영하는 업비트 NFT는 거래지원 검토 과정을 통과한 검증된 NFT만 거래되는 큐레이티드마켓으로, 안전성 및 신뢰도 높은 NFT 거래 환경을 제공해 시장 대중화를 견인한다.

순수미술·스포츠 등 250여 종 NFT 거래

지난 18일 기준 업비트 NFT에 선보인 NFT는 약 250여 종이다. K-팝 스타들의 NFT, 국가대표 선수들의 스포츠 NFT, 순수미술 작품 등 다양한 장르의 NFT가 거래되고 있다.

업비트 NFT의 서비스 구조는 검증된 NFT를 경매 혹은 지정가로 판매하는 1차 마켓인 ‘드롭스(Drops)’와 회원이 소장한 NFT를 회원 간 상호 거래하는 2차 마켓인 ‘마켓플레이스(Marketplace)’로 구성된다.

지난 11일 사용자가 더욱 쉽고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거래 지원 수단을 이더리움(ETH)으로 변경해 업비트 회원 중 고객 확인을 완료했다. 케이뱅크 계좌연동을 안 한 사용자도 NFT 거래에 참여할 수 있다. 글로벌 NFT마켓의 70% 이상이 이더리움 기반이기 때문에 거래되는 NFT 가격의 글로벌 스탠더드를 인지하기 편리해졌다.

업비트 NFT 드롭스에선 순수미술·스포츠·엔터테인먼트·일러스트·게임 등 다양한 분야의 NFT가 연일 완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장콸 작가의 ‘Mirage Cat 3’로, 업비트 NFT 출시 후 처음으로 선보인 NFT 경매에서 0.0416BTC로 출발해 3.5BTC에 낙찰됐다. 이는 당시 업비트 시세로 환산하면 약 2억5000만원이다. 24일엔 한국 추상미술의 거장 김환기 화백의 대표작인 ‘우주(Universe, 05-Ⅳ-71 #200)’의 NFT 3개도 선보여 각각 77이더리움(2억9000만원), 58.5이더리움(2억2000만원), 58.5이더리움(2억2000만원)에 낙찰됐다. 이는 업비트 NFT 역대 최고가다.

마켓플레이스에선 수많은 NFT가 소장가치를 인정받아 회원 간에 거래되고 있다. 최고가에 판매된 NFT는 매드몬스터의 ‘에픽 of 에픽을 위한 매드몬스터’로 1억원이었다. 스티키몬스터랩의 ‘no run’은 드롭스에서 최초 경매 이후 마켓플레이스에서 가격이 900% 이상 상승해 거래되고 있다.거래 환경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두나무는 더욱 다양한 분야의 창작자들과 함께 다채로운 NFT를 선보일 방침이다. 이달 중으로 MZ세대를 겨냥해 EBS 인기 캐릭터 ‘펭수’의 귀여운 모습을 포착한 NFT, 만화가 김성모의 웹툰 NFT를 선보인다. 또한 두나무-네이버-라운드원스튜디오로 구성된 두나무 컨소시엄이 KBO의 NFT 디지털 사업자 공개 입찰에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돼 스포츠 관련 NFT 서비스도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업비트 NFT, 메타버스 세상서도 빛을 발휘

업비트 NFT는 메타버스 세상에서도 빛을 발한다. 두나무는 또 하나의 메가트렌드인 메타버스를 활용해 구매한 NFT를 전시·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구성할 계획이다. 앞서 두나무의 메타버스 플랫폼인 ‘세컨블록’에서 ‘지리산 NFT’와 ‘유퀴즈온더블록’ NFT 이벤트를 진행했다. 앞으로도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해 양 플랫폼 간 시너지를 낼 계획이다.

두나무는 업비트 NFT 거래 플랫폼을 통해 회원들에게 검증된 NFT를 선보이고, NFT 구매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춰 대중화에 앞장선다. 또한 창작자들에겐 믿고 맡길 수 있는 파트너로 장기적인 신뢰 관계를 거래 환경 이어갈 방침이다.

최근 NFT가 큰 주목을 받는 가운데 원작자의 권리 보장과 2차·3차로 이어지는 거래 가능성에 대한 창작자의 관심도 높다. 철저한 사전 검증 절차를 거치는 큐레이티드마켓 형식의 업비트 NFT는 창작자들의 권리를 보장하고, 마켓플레이스에서 발생하는 거래 수수료 일부를 창작자에게 환원하는 선순환 구조로 운영된다. 단순히 거래소 활성화를 위한 수단이 아닌, 창작자와 함께 성장하고 NFT 생태계 확장의 파트너 역할을 한다.

업비트 NFT 관계자는 “다채로운 NFT와 편리한 기능을 선보이면서 NFT 대중화를 이끌고 있다”며 “900만 명 이상 업비트 회원과 창작자를 업비트 NFT에서 연결하고 창조적 잠재력을 디지털로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NAVER 학술정보

주제분야 사회과학 > 경영학 키워드 Stock Investment Information, Trust, Perceived Risk, IS Continuance, User Satisfaction, Stock investment, Online trading, Continuance, Commerce, Business, Risk perception, Marketing

  • 초록 open button
  • 참고문헌 open button

Given the 거래 환경 prevalence of home trading systems, it has become important to examine user behaviors in a stock investment environment. In this vein, this paper developed an integrated model to deeply understand the key determinants of user`s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investment information through constructs prescribed by incorporating trust and perceived risk into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as tested by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160 users who have experience with stock investment. PLS (partial least squares) was employ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oposed framework provid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ion of the variation in continuance intention to search investment information. The findings revealed that trust and perceived risk are more prevalent predictors of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investment information compared to perceived usefulness. It was also found that user satisfaction serves as the salient antecedents of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investment informa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escribed.

Given the prevalence of home trading systems, it has become important to examine user behaviors in a stock investment environment. In this vein, 거래 환경 this paper developed an integrated model to deeply understand the key determinants of user`s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investment information through constructs prescribed by incorporating trust and perceived risk into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as tested by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160 users who have experience with stock investment. PLS (partial least squares) was employ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oposed framework provid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ion of the variation in continuance intention to search investment information. The findings revealed that 거래 환경 trust and perceived risk are more prevalent predictors of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investment information compared to perceived usefulness. It was also found that user satisfaction serves as the salient antecedents 거래 환경 of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investment informa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escribed.

ScienceON Chatbot

Understanding Product Satisfaction in the Context of Online Trading

최근 온라인 구매 환경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가운데 지속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구매자들의 만족에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거래 환경 사용자들의 만족을 설명하고,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성공요인을 검증한다. 기술수용모형에 근거하여 기초적인 변수들을 선별하고, 구매자의 성향을 대표할 수 있는 변수들을 선택하였다. 연구 변수로 상품 만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후회, 효용 극대 성향을 도입하였다. 온라인 구매 정보기술을 사용해 본 150명의 데이터가 PLS 연구 모형에 의해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후회는 상품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효용 극대 성향 역시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후회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다.

Abstract

Recently, online environment is actively used so it will be need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for continuous success.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users' satisfaction of online purchasing IT and verify them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We select basic variables from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add specific variables from former research about user's trait. We chose satisfaction, perceived easiness, perceived usefulness, regret and maximizing tendency. Data collected from 150 user who had prior experiences with online purchasing IT were empirically tested against the research model using partial least square (PLS). The results show that perceived easiness, perceived usefulness and regret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atisfaction and maximizing tendency has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easiness, perceived usefulness and regret significantly.

온라인 구매 정보기술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제품을 직접 보거나 체험하지 않은 상황에서 구매를 하기 때문에 개인별 후회는 쇼핑 행위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특히 상품 구매 후 후회하는 정도가 강할수록 만족도는 낮아질 것이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구매 비용의 절감, 재고 감축 및 새로운 경쟁 기회를 획득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고객의 입장에서는 시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다양한 상품을 구매할수 있다는 해택이 있어 시장 규모는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이다

특히, 기존의 전통적인 시장 거래를 사이버 공간으로 확장시킨 온라인 구매 환경은 1990년대부터 빠르게 성장하여 왔다.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거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구매 비용의 절감, 재고 감축 및 거래 환경 새로운 경쟁 기회를 획득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고객의 입장에서는 시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다양한 상품을 구매할수 있다는 해택이 있어 시장 규모는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이다[1].

온라인 구매 정보기술이 처음 도입되었던 2001년을 기준으로 국내 시장규모는 2011년에 999조 2500억 원 가까이 성장했으며, 2012년 전자상거래는 1000조원 시대에 돌입 하게 되었고, 기업 소비자 간(B2C) 거래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거래 정보기술의 부가 가치 창출로 인해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2]. 온라인 구매 정보기술이 처음 도입되었던 2001년을 기준으로 국내 시장규모는 2011년에 999조 2500억 원 가까이 성장했으며, 2012년 전자상거래는 1000조원 시대에 돌입 하게 되었고, 기업 소비자 간(B2C) 거래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3].

저자의 다른 논문

참고문헌 (25)

  1. 1. 고장석, 조중환, 정석원, "인터넷쇼핑몰 PB 상품이 온라인 소비자의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제12권, 제3호, pp.49-68, 2011.
  2. 2. 최철재, "인터넷쇼핑몰 사이트 환경과 재구매의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357-369, 2012. 원문보기 상세보기
  3. 3. 이진원, "전자상거래 1000조 시대 B2C, B2B, B2G 지속적 성장세", 한국경제매거진, 제849호, 2012.
  4. 4. 강유리, 박철, "온라인 Social Shopping 사이트 이 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20, 2011. 원문보기 상세보기
  5. 5. 박윤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요인간 구조적 관계: 기술수용모델(TAM)과 플로우(Flow)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1권, 제1호, pp.247-272, 2012.
  6. 6. 전상택, 이형주, "인터넷쇼핑몰에서 서비스품질 및 쇼핑흥미도와 충동구매 간에 소비감정의 매개 역할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2권, 제2호, pp.205-230, 2012. 상세보기
  7. 7. 서건수, "인터넷 쇼핑 사이트의 사용성 및 신뢰성과 고객 충성도간의 관계에서 인터넷 쇼핑 관여도의 조절효과",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7권, 제3호, pp.1-29, 2008. 원문보기 상세보기
  8. 8. 황윤용, 최수아, "소비자 구매충성도에 대한 불평 행도의 구조와 결정요인", 한국비즈니스리뷰, 제1권, 제2호, pp.135-156, 2008.
  9. 9.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거래 환경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상세보기
  10. 10. F. D. Davis,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 characteristics, user perceptions and behavioral impacts," International Journal of Man-Machine Studies, Vol.38, No.3, pp.475-487, 1993. 상세보기
  11. 11. B. Schwartz, A. Ward, J. Monterosso, S. Lyubomirsky, K. White, and D. R. Lehman, "Maximizing versus satisficing: happiness is a matter of choi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3, No.5, pp.1178-1197, 2002. 상세보기
  12. 12. 조현, "SNS에 대한 인지요인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1권, 제3호, pp.227-240, 2012. 원문보기 상세보기
  13. 13. 조현, 김성희, 이석기, "EDI 정보 시스템의 성공모형 도출: 의료 산업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2권, 제2호, pp.323-333, 2011. 원문보기 상세보기
  14. 14. 조현, 남달우, 김성희,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 연구, 제12권, 제3호, pp.251-268, 2011.
  15. 15. 조현, 이석기, "기술 수용 및 시스템 성공 모형 관점에서의 스마트폰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10권, 제5호, pp.169-175, 2012년. 상세보기
  16. 16. D. W. Rook and R. J. Fisher, "Normative Influences on Impulsive Buying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2, No.3, pp.305-313, 1995. 상세보기
  17. 17. C. Huffman and B. E. Kahn, "Variety for sale: mass customization or mass confusion?," Journal of Retailing, Vol.74, No.4, pp.491-513, 1998. 상세보기
  18. 18. W. W. Chin,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London, Lawrence Erlbaum, pp.295-336, 1998.
  19. 19. C. M. Ringle, S. Wende, and A. Will, "SmartPLS 2.0 (M3)," Hamburg, Germany, University of Hamburg, 2005.
  20. 20. W. W. Chin, A. Gopal, and W. D. Salisbury, "Advancing the theory of adaptive structuration: The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faithfulness of appropriati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8, No.4, pp.342-367, 1997. 상세보기
  21. 21. J. Hair, R. Anderson, and B. R. Tatham,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거래 환경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06.
  22. 22.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상세보기
  23. 23. D. Gefen and D. Straub, "A practical guide to factorial validity using PLS-graph: Tutorial and annotated exampl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16, No.16, pp.91-109, 2005.
  24. 24. 김국선, 이종호, "소셜 커머스의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품질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311-321, 2012. 원문보기 상세보기
  25. 25. 최현식, 박진우, "모바일관광정보서비스의 특성이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pp.411-422, 2009.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 ScienceON : 원문보기
  • KCI : KCI 원문보기
  • DOI : 10.5392/JKCA.거래 환경 거래 환경 2013.13.05.436 [무료]
  • Korea Open Access Journals : 저널
  • DBPia : 저널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