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 지수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6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주식 형태는 법인과 보통주만(부적격인 경우는 아래 그림 참고)

KDI 경제정보센터

Abstract
We develop a new index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EPU) based on newspaper coverage frequency. Several types of evidence – including human readings of 12,000 newspaper articles – indicate that our index proxies for movements in policy-related economic uncertainty. Our US index spikes near tight presidential elections, Gulf Wars I and II, the 9/11 attacks, the failure of US 지수 Lehman Brothers, the 2011 debt-ceiling dispute and other major battles over fiscal policy. Using firm-level data, we find that policy uncertainty is associated with greater stock price volatility and reduced investment and employment in policy-sensitive sectors like defense, healthcare, finance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t the macro level, innovations in policy uncertainty foreshadow declines in investment, output, and employ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in a panel VAR setting, for 12 major economies. Extending our US index back to 1900, EPU rose dramatically in the 1930s (from late 1931) and has drifted upwards since the 1960s.

S&P 미국 지수 방법론(S&P U.S. Indices Methodology)

KakaoTalk_20181115_150051587 (1).png


안녕하세요, CAV(Crypto Asset Value)의 Seagull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P 미국 지수 개발 방법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S&P는 미국의 신용평가회사로 무디스와 Fitch와 더불어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로 알려져 있습니다. S&P는 주가지수도 개발하는데, 그 중 하나는 다들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S&P500이 있습니다.

20181202s&p.jpg


오늘 알아볼 S&P 미국 지수는 미국 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미국 주식의 시장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주가지수군입니다.(종류가 하나가 아닙니다.) 이 지수군은 규모, 섹터, 스타일에 따라 다양한 지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유동주식수 조정 시가총액 기준으로 가중치가 부여됩니다.(동등 가중 지수, 한도 규정 시가총액 지수 등도 존재합니다.)

지수 종류

  • S&P Total Market : 모든 적격 미국 보통주
  • S&P 500 : 대형주 500개
  • S&P MidCap 400 : 중형주 400개
  • S&P SmallCap 600 : 소형주 600개
  • S&P Composite : S&P 500, 400, 600 지수를 조합한 것.
  • S&P Top50 : S&P 500 중 유동주식수 시가총액 기준으로 top50
  • S&P 100 : S&P 500 중 규모가 크고 안정적인 회사 100개 선정, 상장 옵션 보유, 업종 균형 고려.
  • S&P Composite 1500 : 현재는 TMI(Total Market Index)를 따름
  • S&P Completion : S&P 500을 TMI에서 제외한 나머지 지수
  • S&P Ex-Sector : 정의된 제외 업종 종목들을 제외한 S&P 500지수의 모든 종목의 성과 측정. GICS 따름.
  • INDUSTRIALS 지수 : 금융, 부동산, 유틸리티, 운송을 제외한 S&P 500지수의 모든 종목의 성과 측정
  • S&P 500 Communi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 통신 서비스, 정보기술 부문으로 분류되는 종목의 성과를 측정
  • 동등 가중치 지수 - S&P Equal Weight U.S Indies : 모든 주식에 동등 가중치를 적용. 앞에 설명한 거의 모든 지수에 동등 가중치가 적용된 지수가 가능함.
  • 한도 규정 시가총액 지수 - S&P Capped Market Capitalization Weighted U.S : Select Sector 지수, S&P Select Sector Capped 20% 지수, S&P 500 Capped 35/20 지수, S&P MidCap 400 Capped Sector 지수, S&P SmallCap 600 Capped Sector 지수를 포함. Cap이 존재.

이 방법론에 대한 변경이나 변화는 S&P 다우존스 지수의 고유한 판단과 재량에 의해 이루어지게 됩니다.

적격성 기준

역시 이 부분도 항셍이나 닛케이와 달리 더욱 많은 적격성 조건이 있습니다.

고정 자산 및 수입 중에서 미국 비중이 다수를 차지하나, 50%를 초과할 필요는 없음. 이들 요소가 상충하는 경우, 자산 비중이 다수 여부를 결정함. 자산정보가 불완전할 경우 수입 비중이 다수 여부를 결정함(이것이 충족되지 않거나 모호한 경우, 주된 상장장소, 본사, 법인설립이 모두 미국 또는 “편의를 제공하는 소재지”(문서의 부록 A 참조)에 있다면, S&P 다우존스 지수는 지수 목적을 위해 미국 기업으로 간주할 수 있음.)

20181202에쎈피.JPG

주된 상장은 적격 미국 거래소에서 이루어져야 함(가능한 거래소는 아래 그림 참고)

20181202에쎈피2.JPG

주식 형태는 법인과 보통주만(부적격인 경우는 아래 그림 참고)

S&P Total Market Index : 트래킹 주식, 복수의 주식종류 대상 가능

S&P Composite 1500 : 트래킹 주식, 복수의 주식종류가 존재하면 불가능. 만약 기존 기업이 복수의 주식종류로 변경했다면 위원회의 평가에 따름

시가총액 적정 조건 존재. S&P 500의 경우 미조정 시가총액이 61억 달러 이상, S&P MidCap 400 지수의 경우 16억 달러 ~ 68억 달러, S&P SmallCap 600 지수의 경우 4억 5천만 달러 ~ 21 억 달러 조건이 필요함. 이러한 범위는 시장여건과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때때로 검토됨

유동성 조건 존재. 유동주식수 조정 시가총액 대비 거래된 연간 달러가치(1년간 거래량에 해당 기간 동안의 평균 종가를 나눔)의 0.1(total market), 1(Composite 1500)을 만족해야 함

투자가중치계수(투자가능 유통 주식수 / 총 발행 주식수)는 0.1IWF(total market), 0.5IWF(composite 1500)이 필요.

재정 건전성은 total market에서는 제한이 없지만 다른 지수의 구성원들은 최근 4분기 이익의 합이 플러스여야 함. 재정 건전성은 GAAP 이익 및/또는 운영자금(FFO)에 기반

기업공개(IPO)는 total market에서는 제한이 없고 composite 1500에는 편입 고려 전 12개월동안 적격 거래소에서 거래되어야 함. 기존 지수구성 종목으로부터 기업분할 또는 같은 종류의 분배가 이뤄질 경우에는 12개월동안 거래되지 않아도 됨.

예외
 S&P Composite 1500 지수 구성종목을 인수한 S&P Composite 1500 지수 미포함 종목의 경우에는 지수 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포함될 수도 있고,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S&P Composite 1500간의 US 지수 지수 이동은 위에 서술한 적격 요건을 충족시키지 않더라도 지수 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다른 지수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S&P Composite 1500 구성종목의 기업분할을 했을 시에는 미국 소재만 확인되면 지수위원회의 재량에 따라 이전 주식이 속했던 지수에 유지될 수 있습니다.

S&P 다우존스 지수는 가능하다면 지수 구성종목 교체를 피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때로는 구성종목이 일시적으로 편입기준 하나 이상을 위반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편입기준은 구성종목 자격유지 여부가 아니라 지수편입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입니다. 결과적으로 해당지수의 편입기준을 위반하는 것으로 보이는 지수 구성종목은 현재 여건으로 인해 지수가 변경되지 않는 한 편출되지 않습니다.

지수 구축(일반)

앞서 전체 지수 유니버스(적격성 기준을 따르는 주식들)와 가중치(유동주식수 조정 시가총액 사용)는 다뤘고, 다들 반복되는 내용이라 각각의 지수별 구성종목 선정 방식만 살펴보겠습니다. 참고로 모든 구성종목 선정은 지수위원회의 재량에 달려 있습니다.

S&P Total Market 지수 : 지수 유니버스에 포함된 모든 주식

S&P 500, S&P MidCap 400 , S&P SmallCap 600 지수 : 각각 500개, 400개, US 지수 600개를 선정. 관련 시가총액 범위 내에서 GICS 업종 비중과 S&P Total Market의 업종 비중을 비교하여 업종 균형을 고려해 선정.

S&P Composite 지수 :

  • S&P Composite 1500 : S&P 500, S&P MidCap 400 , S&P SmallCap 600의 합
  • S&P Composite 900 : S&P 500 + S&P MidCap 400
  • S&P Composite 1000 : S&P MidCap 400 + S&P SmallCap 600

S&P 500 Top 50 지수

  • S&P 500의 주식들 중 선정
  • 유동주식수 조정 시가총액 기준으로 상위 45위에 드는 모든 종목이 자동적으로 선정
  • 상위 55개에 남아있는 현재 구성종목들이 50개 종목에 도달할 때까지 순서대로 선정
  • 아직 목표 개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50개 종목이 포함될 때까지 구성종목에 포함되지 않은 회사 중 가장 높은 순위의 종목이 선정
  • S&P 500의 주식들 중 선정
  • 상장옵션이 있는 규모가 크고 안정적인 종목(지수위원회의 재량이 상당히 중요한 지수입니다.)
  • 업종 균형 고려

S&P Completion 지수 : S&P 500 지수 구성종목을 제외한 모든 S&P Total Market 지수 구성종목이 선정됨.

S&P500 Ex-Sector 지수 : GICS 분류기준에 기반하여 제외 업종이 배제된 지수.( Ex-Information Technology, Ex-Communication Services 등이 있네요.)

INDUSTRIALS 지수 : GICS 분류기준에 기반하여 금융, 부동산, 유틸리티, 운송산업 그룹의 종목이 제외된 지수.

지수 구축(특별한 케이스)

여기서는 가중치 적용 방식이 유동주식수 조정 시가총액이 아닌 동일한 가중치를 US 지수 적용하거나 한도규정 시가총액으로 가중치를 적용하는 지수들을 살펴보겠습니다.

S&P Equal Weight U.S 지수 : 앞서 소개한 지수들에서 모든 주식에 동등한 가중치를 부여한 지수입니다. 구성은 기초가 되는 지수가 동일합니다. 만약 특정 종목이 분기 중에 지수에 편입되면 대체한 종목의 가중치를 그대로 가져가게 되나 $0.00으로 대체한 종목이 편출되었으면 예외가 적용되어 $0.00로 평가되지 않은 이전의 가격을 사용하여 가중치를 부여받고 편입됩니다.

S&P 500 Equal Weight Sector 지수 : GICS 분류기준에 기반하여 동일한 가중치를 적용한 업종별 지수입니다. S&P 500을 대상으로 하며 만약 S&P 500에서 편입/편출이 발생한다면 이 지수도 변경됩니다.

S&P 500 Equal Weight Sector Plus 지수 : 위와 거의 동일하나 보충 종목이 포함될 수 있고, 지수별 선정된 종목 수가 22개보다 작을 경우 S&P MidCap 400 지수의 가장 규모가 큰 종목이 22개가 채워질 때까지 보충됩니다. 이는 다음 분기 리밸런싱까지 포함됩니다.

특정 업종지수 : GICS 분류기준에 기반하고, 한도규정 시가총액으로 가중치를 적용합니다. 한도규정이란, 지수 내에서 특정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의 한계치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이 업종지수에서는 일단 유동주식수 조정 시가총액으로 가중치를 적용하고, 한도규정을 한번 더 적용합니다. 만약 가중치가 24%를 초과한다면 초과한 비율만큼 가중치는 나머지 주식들에 비례적으로 재분배됩니다. 이 때, 다시 가중치가 23%를 초과하는 주식이 나올 수 있고, 이런 경우에도 다시금 초과한 만큼 나머지 주식들에게 배분됩니다. 그리고 가중치가 4.8%보다 큰 종목의 합계는 전체 지수 가중치의 50%를 초과할 수 없다는 조건도 있는데, 이러한 조건에 걸린 경우 50% 한도를 초과하게 하는 첫 번째 회사는 가중치가 4.5%로 줄어듭니다. 이것이 계속해서 반복되어 주식 비율을 정하게 됩니다.

S&P Select Sector Capped 20% 지수 : 위와 거의 동일하나 그 비율이 다릅니다. 일단 GICS에 기반하여 분류가 되고 가중치가 19%를 초과하는 종목의 경우 이 가중치를 나머지에 배분하게 됩니다.

S&P Select Sector Dail Capped 25/20 지수 : GICS에 기반하여 분류되고 매일 가중치가 25%를 넘는 종목이 있거나, 두 번째로 큰 종목의 가중치가 20%를 초과할 때 이 가중치가 나머지에 분배됩니다. 처음 선정시엔 23%를 넘는 종목이 있거나, 두 번째로 큰 가중치를 가진 종목이 19%를 넘을 경우 이를 나머지에 분배하게 됩니다. 또한 4.8%보다 큰 가중치를 가진 종목의 합계가 전체 지수 가중치의 50%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위와 동일하게 이도 조정됩니다.)

S&P 500 Capped 35/20 지수
이는 가장 큰 가중치를 지닌 종목이 33%를 초과하거나 두 번째로 큰 가중치를 지닌 종목이 19%를 초과할 경우 이 가중치를 나머지 종목들에 분배합니다. 또한 1달에 한 번 검토되는데, 이 때 35%를 넘는 주식이 있거나 두 번째 주식이 20%를 넘을 경우 이 차이가 나머지 종목들에 분배됩니다.

S&P MidCap 400 Capped Sector 지수
S&P MidCap 400을 대상으로 하고, 일반적으로는 가중치가 22.5%를 초과하는 종목의 경우 초과한 가중치를 나머지 종목에 분배합니다. 가중치가 4.5%보다 큰 종목들의 합계는 45%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이 지수의 경우 지수별 종목수로 인해(섹터지수다 보니 종목 수가 적을 수 있음) 종목 개수별로 단일 종목 가중치 한도와 전체 종목 합산 가중치 한도가 달라집니다.

S&P SmallCap 600 Capped Sector 지수
S&P MidCap 400과 거의 동일합니다. S&P SmallCap 600을 대상으로 하고, 일반적으로는 가중치가 22.5%를 초과하는 종목의 경우 초과한 가중치를 나머지 종목에 분배합니다. 가중치가 4.5%보다 큰 종목들의 합계는 45%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이 지수의 경우 지수별 종목수로 인해(섹터지수다 보니 종목 수가 적을 수 있음) 종목 개수별로 단일 종목 가중치 한도와 전체 종목 합산 가중치 한도가 달라집니다.

지수 계산

제수 방법론을 사용하여 계산합니다.( 이 부분은 꽤 길어 나중에 따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발행 주식수는 일반기업회계기준(GAAP)에서 재무회계기준위원회(FASB)에서 정의한 기본 주식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주식수는 유동주식수로 조정하여 매매가능한 주식만을 반영하게 됩니다. ( 이 부분도 상당히 길어 나중에 따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지수 유지관리

  • S&P Total Market 지수 : 재조정 효력일 5주 전 기준일을 사용하여 9월 세 번째 금요일 종료 후 매년 재구성됩니다. 주식수는 분기별로 갱신됩니다.
  • S&P 1500 Composite 지수 : 지수 재구성은 예정되어 있지 않으나 필요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 S&P Completion 지수 : 인수, 주요 거래소에서 상장폐지, 소재지 변경, 파산 등을 제외한 이유로 S&P 500 지수에서 편출된 종목의 경우 즉시 S&P Completion 지수에 편입됩니다. 마찬가지로 S&P 500 지수에 편입된 종목의 경우 S&P Completion 지수에서 제외됩니다.
  • S&P 500 Top 50 지수 : 이 지수는 5월 마지막 거래일을 기준일로 사용하여 6월 세 번째 금요일 종료 이후 분기별로 재구성됩니다. 주식수는 분기별로 갱신됩니다.
  • S&P Equal Weight U.S. 지수 : 분기 마지막 월 3번째 금요일 시장마감 후에 재조정됩니다. 가중치는 1/N이고 기준가격은 분기 마지막 월 2번째 금요일 종가입니다.
  • S&P Capped Market Cap Weighted U.S. 지수 : 분기 마지막 월 3번째 금요일 시장막마 후에 조정됩니다.
  • 업종지수 재분류 : 업종지수 구성종목은 GICS가 재분류될 때 옮겨질 수 있습니다.

편출 : 해당 종목이 합병, 인수 또는 더 이상 적격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을 경우 지수에서 편출됩니다. 또한 적격성 기준을 하나 이상 크게 위반하는 경우 지수 편출일로부터 최소 1년이 지나야 합니다. 또한 S&P Composite 1500 지수에서 편출된 모든 종목은 다시 검토되기 위해 편출일로부터 최소 1년이 지나야 합니다.

지분 및 투자가중치계수(IWF) 업데이트 : 이 부분도 US 지수 꽤 길어 다음 글에서 다루겠습니다. 예외 사항을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S&P Composite 1500 지수의 구성종목의 지분이 5% 이상의 공모로 인해 변경될 경우 익일 업데이트가 이뤄집니다.(몇 가지 조건이 더 있긴 합니다.) S&P Composite 1500 지수에 포함되지 않은 종목의 5% 이상의 공모로 인한 지분변경은 주간 단위로 적용됩니다.

지수 거버넌스

S&P 미국 지수는 지수위원회에서 관리합니다. 모든 위원은 S&P 다우존스 지수의 직원 중 전임 전문위원이라고 합니다. 월 단위로 회의를 개최하고 여러 시장 이벤트를 검토합니다. 이들은 지수 정책을 개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지수위원회의 논의는 기밀 사항인데, 이것의 이유는 지수 관련 사항의 변경 정보는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S&P 미국 지수는 상당 부분 지수위원회의 재량에 의지하는 모습을 보이는 듯 합니다. 또한 세계적인 US 지수 지수이니만큼 굉장히 많은 종류의 지수가 산출되고 있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감사합니다.

US 지수

중앙일보에 연재되고 있는 글을 따로 모웁니다 . 저의 사이트에 처음 오시는 분들이 간단하게 먼저 읽을 수 있도록 배려한 것입니다 . 다른 곳에 글과 중복되는 점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

미국 주식시장 (stock market) 에서 상용되고 있는 여러가지 주가지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 주가지수는 분산투자 (diversification) 란 무엇인가를 설명할 때 꼭 알아야 할 기본지식입니다 .

경제 신문이나 일간 신문의 경제면에서 혹은 TV 의 경제 뉴스에서 또한 우리의 일상 대화 속에서도 " 주식시장이 올라갔다 ." 혹은 " 주식시장이 내려갔다 ." 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식으로 주식시장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 이야기할 때 우리가 인용하는 것이 바로 주가지수입니다 .

여러분의 키가 한국 사람의 키보다는 더 크다고 강력 (?) 하게 주장할 때는 한국사람의 평균 키를 알아야 합니다 . 이와 마찬가지로 주식사장도 무엇과 비교를 해서 주식시장이 올라갔는지 혹은 주식시장이 내려갔는지 비교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 그래서 그 기준으로 삼는 것이 바로 주가지수입니다 .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가지수가 많이 있는데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몇 개의 지수 (index) 를 설명합니다 .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DJIA), 1896:

30 large-company (25%)

EX) General Electric, Disney, Exxon&Mobil, and Microsoft

다우존스는 전체 주식시장의 약 30% 만을 차지합니다 . 이러한 이유로 전체 주식 가격 변동을 말한다는 것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 그러나 가장 오래 된 지수이고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기에 계속 사용되는 것입니다 .

S&P 500 (Standard & Poor’s 500 Index), 1957:

500 Large-Cap Stocks (80%)

S&P 500 는 미국에서 가장 큰 500 개 회사의 주식 가격 변동을 나타냅니다 . 전체 주식시장의 약 80% 를 차지하기 때문에 미국의 주식시장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대표할 수 있는 주가지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Nasdaq Composit (NASDAQ), 1971:

Technology – 70%, S&P 500 – 25%

주식 중개인들이 거래하는 모든 주식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 나스닥에는 많은 IT 회사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그래서 테그널러지 주식을 대표한다고도 하는 것입니다 .

Russell 2000, 1985:

Small Stocks Standard

Top 3,000 U.S. companies

Russell 2000 은 작은 회사의 주식변동을 나타내는 회사입니다 .

Morgan Stanley EAFE Index:
EAFE (Europe, Australia 와 Far East) 지수는 전세계 선진국들의 주식가격 변동을 나타냅니다 . 개발도상국가의 주식변동을 나타내는 이머징 (emerging) 마켓지수와는 달리 EAFE 지수는 세계의 크고 선진화된 국가들의 주식에만 집중합니다 . 그래서 이 지수는 이머징마켓지수에 비해 변화가 되는 폭이 적습니다 .

Morgan US 지수 Stanley Emerging Markets Index :
주로 남미와 동남아시아의 23 개 개발도상국의 800 개 주식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 개발가능성이 많은 국가들을 대상으로 하므로 주식가치의 변화 폭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

Entire U.S. Stock Market

Wirshire 5000 은 미국 주식시장 전체의 주식변동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 이름은 5000 이지만 사실상 약 6,500 개의 주식 가격 변동을 나타냅니다 .

US 지수

KINDEX PRODUCT INFOMATION

KINDEX

  • 미국고배당S&P ETF [종목코드: 402970] 10년 연속 배당금을 지급한 미국 주식(REITs 제외) 중 4가지 펀더멘털 (1)현금흐름부채비율,
    (2)자기자본수익률(ROE), (3)배당수익률, (4)5년 배당성장률을 고려하여 상위 100 종목을 선정해 투자하는 ETF

펀드정보
펀드유형 상장일 규모(AUM) 수익률(설정이후)
주식형(해외) 2021/10/21 541억 5.42%

기본 정보

기본정보
10,421.96원 Dow Jones U.S. Dividend 100 Price return Index
5,131.16 ( ▲ 3.48 ) -
10421.96원 ( ▼ 70.97 ) 이종훈
10440( ▼ 75) 402970
키움증권,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KB증권

시장정보

시장정보
KINDEX미국고배당S&P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
402970 -
2021/10/21
이 투자신탁은 S&P Dow Jones Indices가 산출ㆍ발표하는 “Dow Jones U.S. Dividend 100 Price return Index”를 기초지수로 하여 이 투자신탁 수익증권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5원 1주
상하 30% T+2
1,4,7,10월의 마지막영업일, 회계기간종료일

운용성과

기간별 수익률
펀드 4.97 -4.22 1.63 0 0 -0.88 5.42 0
비교지수 4.86 -4.61 0.73 0 0 -1.39 3.59 0
초과성과 0.11 0.4 0.9 0 0 0.51 1.83 0
* 위의 수익률 정보는 배당금 재투자를 가정하였음.
* 변동성 : 최근 1년간 일간수익률 기준 표준편차 연환산(운용기간 1년 이내인 경우 전체 운용일수 기준)

업종 비중

업종 비중 TOP 10
1 IT 20.57
2 금융 19.37
3 필수소비재 14.13
4 헬스케어 12.36
5 산업재 10.77
6 경기소비재 6.72
7 커뮤니케이션서비스 5.42
8 에너지 4.56
9 소재 3.45
10 유틸리티 0.3

상위 10종목

TOP 10 종목구성
1 HOME DEPOT INC 경기소비재 4.24
1 PEPSICO INC 필수소비재 4.24
3 AMGEN INC 헬스케어 4.20
4 MERCK & CO. INC. 헬스케어 4.19
4 TEXAS INSTRUMENTS IT 4.19
6 CISCO SYSTEMS INC IT 4.11
7 COCA-COLA CO/THE 필수소비재 4.09
8 VERIZON COMMUNICATIONS INC 커뮤니케이션서비스 3.98
9 PFIZER INC 헬스케어 3.97
10 INTL BUSINESS MACHINES CORP IT 3.84
  • ※ 유의사항
  • * 집합투자상품은 실적배당상품으로 운용결과에 따른 이익 또는 손실이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 집합투자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으며, 원본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기 전에(투자대상, 환매방법 및 보수 등에 관하여) 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운용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기준 가격

기준가격 US 지수
2022/07/21 5,131.16 3.48 0.07 10,421.96 -70.97 10,440 -0.71 0.75 0.03
2022/07/20 5,127.68 -14.92 -0.29 10,492.93 196.41 10,515 2.24 2.20 0.33
2022/07/19 5,142.60 98.26 1.95 10,296.52 -113.42 10,285 -1.11 3.04 0.02
2022/07/18 5,044.34 -40.13 -0.79 10,409.93 84.52 10,400 0.39 1.61 0.43
2022/07/15 5,084.47 74.69 1.49 10,325.41 33.22 10,360 0.97 1.17 0.65
2022/07/14 5,009.79 -38.33 -0.76 10,292.20 -30.78 10,260 -0.82 0.46 0.52
2022/07/13 5,048.11 -35.24 -0.69 10,322.98 -87.06 10,345 -0.14 0.15 0.70
2022/07/12 5,083.35 -22.42 -0.44 10,410.04 9.28 10,360 0.58 0.53 0.49
2022/07/11 5,105.78 -27.29 -0.53 10,400.76 4.46 10,300 -0.48 0.57 0.52
2022/07/08 5,133.07 -11.14 -0.22 10,396.29 114.47 10,350 0.34 1.33 0.77

* 설정일 이후부터의 기준가격 상세정보는 ‘엑셀파일 다운로드’를 통해 상세히 확인 가능합니다.

* 본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수 및 수익률 정보는 투자 참고 사항이며 오류가 발생하거나 지연될 수 있습니다.

*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위험평가액(d)=총위험노출액(b)-담보평가액(C)’이 0(Zero) 이하가 될 경우, 위험평가액은 0(Zero)으로 산출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 FKI TOWER 11~12F TEL.02-2055-5555 COPYRIGHT(C) 2010 KOREA INVESTMENT MANAGEMENT CO,.LTD. ALL RIGHTS RESERVED.

ETF를 투자하시기 전에, 유의사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본 자료 중 운용계획 및 전략 등은 시장상황 및 가격변동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당사의 승인 없이 불법적으로 복제 또는 유통될 수 없습니다.
※ 본 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습니다.
※ 본 상품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운용실적 또는 자산가격 변동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투자하시기 전에 반드시 (간이)투자설명서 및 집합투자규약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금융상품판매업자는 이 금융투자상품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으며, 투자자는 투자에 앞서 그러한 설명을 충분히 들으시기 바랍니다.
※ 집합투자재산은 자본시장법에 의하여 신탁업자에게 안전하게 보관∙관리되고 있습니다.
※ 증권거래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 상품을 증권사에서 거래할 경우 증권사별 거래수수료가 발생합니다.
※ 외화자산의 경우 환율변동에 따라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외화자산의 경우 투자 대상국가의 시장, 정치 및 경제상황 등에 따른 위험으로 자산가치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파생상품은 높은 가격 변동성으로 인해 단기간에 투자원금의 전부 또는 상당부분을 잃을 수 있으며, 장외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거래 상대방이 US 지수 계약조건을 이행하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 레버리지펀드는 투자원금 손실이 크게 확대될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펀드(2배, 인버스, 인버스 2배)의 기간 수익률은 추종하는 기초자산(지수)의 일간 수익률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인버스펀드는 지수를 역(逆)으로 추적하여 상승장에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US 지수

The owner of it will not be notified. Only the user who asked this question will see who disagreed with this answer.

'얼마 전' means 'lately' or 'a few days ago'.

  • Japanese Near fluent
  • Korean

@_M_a_r_c_ it is noun, a relatively small amount, value, period, or degree of something that need not be clearly stated.

Do you know how to improve your language skills❓ All you have to do is have your writing corrected by a native speaker!
With HiNative, you can have your writing corrected by native speakers for free ✍️✨.

  • EX: He doesn’t care who you talk to. : He doesn’t care whom you talk to. There are two se.
  • Is it “good at taking pictures” or “good in taking pictures”? Recently I’ve seen the usage of “in.
  • -Does the sentence US 지수 below sound natural? The phone repairman is always making up something and sa.
  • the breakthrough of my company, made me felt really proud the phrase it's ok?
  • Does it feel natural? I'd say I've always stood for you ( I've been loyal to you)
  • I started using a thermos bottle to take a cold tea in my room. The ices in it still don't unfree.
  • US 지수
  • In what kind of situations we can use ISSA VIBE?
  • I was just helping a friend with his texting in English (a romantic conversation) I wrote, "I'l.
  • Which one is correct? A) travel expenses B) traveling expenses
  • CORRECT? You finally picked up a courage to.
  • Guys, can anyone explain what does "D-Day" mean in Korean slang? I've heard it in so many differe.
  • How do I add music to my kakaotalk profile?
  • Ok so KakaoTalk won’t let me join any open chats because of a protection plan what is that suppos.
  • 파이팅 or 화이팅? (Fighting)
  • What does "pabo" mean? And how do you write it down in Korean?

The Language Level symbol shows a user's proficiency in the languages they're interested in. Setting your Language Level helps other users provide you with answers that US 지수 aren't too complex or too simple.

Has difficulty understanding even short answers in this language.

Can ask simple questions and can understand simple answers.

Can ask all types of general questions and can understand longer answers.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